-
[UX-Usability][야놀자 vs 여기어때]UX 2022. 1. 28. 14:44
사용성(Usability)이라는 지표는 상당히 모호하면서 어려운 지표인 것 같습니다.
이에 사용성의 거장이신 제이콥 닐슨(Jacob Nielson)이 제시한 5가지 기준은 Learnability, Efficiency, Memorability, Few errors, Satisfaction 이 있습니다.
위의 5가지 지표를 통해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지만 5가지 모두를 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비효율적이고 불가능 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현업에서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지표를 선택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실제로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저테스트를 진행할 때 크게는 2가지로 나눠보았습니다.
주관적 지표 : 사용자의 만족감 및 선호도 등을 정량적 혹은 정성적으로 측정
객관적 지표 : 소요 시간,에러율 등으로 측정
위의 지표들은 실제로 유저테스트 및 논문 실험 지표로 쓰이고 있습니다.
야놀자
->메인화면
- ‘야놀자'의 메인화면에서는 선택해야하는 아이콘의 항목의 수가 과도하게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쿠폰의 경우 (나만의 쿠폰,선착순 쿠폰,무한 쿠폰,1월 혜택 모음,,,)등등 하나의 카테고리를 과도하게 세분화 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야놀자’의 메인화면에서는 ‘모바일교환권’을 판매하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숙박,레저를 다루는 어플에서 모바일 쿠폰을 판매하는 것은 어플의 가치관과 제공하는 정보들과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생각 합니다.
- ‘야놀자’의 메인화면 하단에는 상단에 제공된 메뉴를 동일하게 반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해당 페이지가 메인 페이지임을 고려해 본다면 공간을 다소 비효율적으로 활용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메인화면에서 제공하는 나만의 쿠폰,선착순 쿠폰,무한 쿠폰룸의 경우 각각 다른 페이지를 제공하며 해당 키워드가 포함하는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웠습니다.
- 메인화면에서 ‘즐길거리’에서도 마찬가지로 상당히 많은 키워드의 아이콘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정보를 파악하는데 부담을 제공하며 색상이 없는 아이콘을 사용하여 직관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 이에 ‘카페’, ‘베이커리’ 항목의 경우, 소비자의 기대와는 다른 정보가 포함되었습니다.
- 즐길거리 탭에 포함되어 있기에 ‘카페’, ’베이커리’ 에서는 해당 카테고리에서 유명한 가게나 메뉴등이 소개될 것을 기대했지만 해당 페이지에서는 ‘프랜차이즈’매장의 ‘기프티콘’을 판매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정보탐색
- 대중적으로 숙박 어플을 사용하는 페르소나를 가정하고 task를 진행 했을 때
- ‘지역 설정’ 페이지 에서는 앞서 고민하고 ‘호텔 특가’를 선택함에도 불구하고 ‘특가 프리미엄 호텔’ 슬로건이 중복 제공 되었으며
- ‘가격 정보 확인’페이지에서는 가격 정보가 [75%,선착순1만원,판매가,남은객실2개]등 좁은 영역에 과도한 수의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며 객실 정보에서도 마찬가리로 [선착순룸업,비전망,부분바다전망]등 좁은 영역에 과도하게 제공되어 직관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 ‘메인 화면 탐색’페이지 에서 ‘호텔’의 경우, 프리미엄호텔,호텔특가 2가지 아이콘중에 선택 시 고민의 시간이 소요될 것을 예상합니다.
여기어때
->메인화면
- ‘여기어때'의 메인화면에서는 크게는 숙박,쿠폰 및 이벤트 영역을 나누어 제공하였으며 과도하지 않은 메뉴 개수와 배치로 선택 시 간격성을 향상시켰습니다.
- ‘여기어때’의 메인화면에서는 가장 먼저 ‘프리미엄블랙’ 메뉴가 위치하는데 이에 대한 정보는 스크롤 시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으며 해당 설명을 ‘단 하루의 휴가가 주어진다면..’의 UXwriting으로 프리이엄 블랙이 의미하는 콘텐츠도 직관적이였습니다.
- ‘여기어때’의 메인화면에서는 ‘올겨울 호텔 어때?’,’취향대로 맛집어때?’,’올겨울 펜션어때?’ 등의 여기어때를 활용한 통일성 있는 UXwriting으로 사용자들에게 친밀함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보 탐색
- 대중적으로 숙박 어플을 사용하는 페르소나를 가정하고 task를 진행 했을 때‘지역설정’ 페이지에서는 앞의 페이지와 중복되는 정보 없이 간결하게 지역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 가능합니다.‘가격 정보 확인’ 페이지에서는 필요한 정보 [남은객실 수, 할인 받은 가격]을 바로 확인 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 ‘호텔 탐색’ 페이지에서는 스크롤하면서 동시에 ‘하트’로 찜하기 기능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 ‘메인 화면 탐색’ 페이지에서는 ‘호텔’ 키워드에 해당하는 메뉴가 1개로 제공되어 바로 선택 가능합니다.
사용성 기준으로 야놀자와 여기어때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위의 내용은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Writing][메가박스 vs CGV] (0) 2022.01.28 [Project][좋은케어] Redesign Project of User Interface (0) 2022.01.08 [Project][야놀자]Redesign Project of User Interface (0) 202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