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Korea University IME. Ergonomics

Today
Yesterday
Total
  • [소비자 마케팅] Marketing of High-Technology Products and Innovations (3)
    Marketing 2022. 4. 27. 13:52

    마케팅 수업을 들으면서 수업자료와 교재를 기반으로 챕터별로 핵심내용을 정리할 계획이다.

    단어의 의미를 명료하게 정의하고 소비자측면과 기업측면에서 바라보는 제품과 서비스의 견해 등을 기록할 것이다.


    3. 하이테크 기업 문화와 분위기 

     

    혁신문화와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혁신 자체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창조적파괴(creative destruction)는 조직 내에서 기존 제품의 자기잠식 판매의 위험을 안은 채 급진적이고 돌파적인 신제품,서비스,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상업화하는 과정이다. 창의성은 혁신을 위한 인식적 기반(cognitive foundation)이다.

     

    • 혁신문화의 촉진 요소

    혁신문화의 촉매제

    혁신문화를 보여주는 기업들은 일련의 공통적인 촉진조건을 가진다. 이러한 조건이 존재하면 돌파적 사고를 독려하고 지원하고 보상하며 혁신을 방해하는 것을 저항하는 환경이 조성된다.

     

    [혁신문화의 촉진 요소들]

    - 최고 경영자의 관심 

    - 창조적 파괴

    - 자기시장잠식에 의한 관리자의 의지

    - 제품 챔피언

    - 비밀 실험실

    - 학습조직

    - 의도적 망각

    - 기업 이미지화

    - 탐험적 마케팅 

    - 위험 감수 

    - 혁신에 대한 보상 

     

    • 혁신문화 유지를 방해하는 요인

    [방해하는 요소들]

    - 핵심적 경직성 

    핵심적 경직성이란 이미 잘 자리 잡아 기업이 새로운 시도를 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기술 또는 역량으로 부터 발생한다. 

    핵심 역량은 또한 핵심적 경직성이 되어 새로운 영역의 신제품 개발을 가로막을 수 있다. 

    - 혁신가의 딜레마

    비즈니스에서 자주 나오는 패턴은 선도기업이 기술 또는 시장변화로 그들의 산업에서 최고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실패하는 것이다.

    시장 선도자는 그들의 자원을 이미 확실히 자리 잡은 시장의 점진적인 혁신으로부터 분명하지 않거나 혹은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새로운 시장과 소비자에게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돌파적 혁신을 소개할 때 장애물에 직면한다.

     

    기업들은 반드시 혁신문화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통해 핵심 경직성과 혁신가의 딜레마로 인해 발생하는 관성력에 저행해야한다. 

    댓글

my_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