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올리브영' 현황 분석 및 방향성 제공(3)
    UX/서비스 분석 2022. 4. 6. 18:36

    앞의 글에서는 문제점 분석 단계에서 유저 서베이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해 보았다. (아래의 4가지 항목)

     

    1. 정보의 신뢰성과 가격이 중요 

    2. 사용자 새로운 경험(UX)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

    3. 남성들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 활성화 필요

    4. 메인 화면의 UI의 간소화가 필요

     

    해당 인사이트를 중점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벤치마킹을 통해 타 브랜드의 현황 및 진행상황을 살펴보고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Process]

    1. 올리브영의 국내, 해외 시장분석 

    2. 올리브영의 현황 분석 및 문제점 정의 

    3. 문제점 분석 

    4. 아이디어 및 해결방안 제시 

     


     

    4. 아이디어 및 해결방안 제시 

     

    구매 여정 

    탐색, 체험, 결제, 구매, 구매 이후 5단계에서 

    탐색, 체험 단계에서 사용자의 Needs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뷰티 어플인 '화해'를 올리브영의 벤치마킹 서비스 대상으로 선정하였고(어플 사용 빈도 및 상승세를 반영)

    화해에서는 탐색과 체험 단계에서 어떠한 전략 및 구성으로 사용자에게 다가가는지 간단하게 분석하려 한다.

     

    <'화해'어플 화면>

    - 메인화면의 정보 구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text보다는 이미지 위주의 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하나의 페이지에서는 과도한 정보 제공을 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가지 제품의 구성으로 제공)

    - 구매 이외에 뷰티 관련 정보 제공의 형태를 보면 올리브영과는 달리 동일한 형태 및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해'어플 화면>

    - 화해에서는 자체에서 진행하는 AWARDS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해당 행사의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결과 또한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측면에서는 정보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 또한 화해하면 떠오르는 브랜드 이미지에도 도움이 된다. 타 어플과는 다른 차별점을 제공하는 것도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화해'어플 화면>

    -마지막으로는 제품 성분 제공 부분이다. 해당 영역은 사용자가 평소에 직접 찾아보지 않는 한 얻기 어려운 정보들이다. 이는 사용자가 알아야 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어플의 가치를 향상할 수 있고 사용자 측면에서도 해당 성분 분포, 피해야 하는 성분, 위험도 등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화해 어플을 유지하면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탐색과 체험 부분에서 벤치마킹을 통해 타 어플의 진행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올리브영 어플에 해결방안을 제안하려 한다.

     

    -탐색) 

     

     1. 메인화면의 UI 간소화 방법  

    - text 보다는 이미지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간결성과 직관성을 향상해야 한다.

     - 정보 제공의 유형은 통일성 있게 유지하여 사용자들의 정보 인식에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 

    ->(설명) 올리브영의 메인화면은 정보 제공 측면에서 Text 위주의 구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제품을 한 번에 제공하는 방법은 좋지만 간결함과 직관성 부분에서는 떨어지며 이는 구매 전환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에서 통일성 있는 UI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도달률을 향상해야 한다. 

     

    2. 정보의 신뢰성 향상 방법

    - 구매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리뷰'의 중요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 (설명) 실제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는 요소 중 직접 사용한 리뷰 및 평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경향이 높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되 신뢰도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화해'의 경우 '어플 자체 Awards'를 통해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사용자들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대한 반응 또한 긍정적이며 사용자들이 해당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APP 서비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수치 또한 높다. 이처럼 단순 text 리뷰뿐 아니라 자체적인 리뷰 평가 전략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체험)

    1.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 제공 방법

    - 사용자들에게 제품 '판매'의 목적이 아닌 '정보 제공'에도 초점을 두어 사용률 및 유지율을

     증가시켜야 한다. 

    ->(설명) 이에 대한 예시로는 패션 서비스 APP에서 '29cm'를 첨부하였다. '29cm'는 옷을 판매하는 것만이 아닌 브랜드의 철학, 역사 그리고 사용자에게 전하는 스토리 등을 제공하면서 사용자들에게 다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단순 상품을 구매하는 겨 보다 여러 가지를 고려하는 요즘 소비 스타일을 잘 반영한 서비스라고 생각되며 뷰티 서비스 APP도 이와 같이 브랜드의 스토리를 전달하여 소비자에게 다가갈 필요가 있다. 

     

    2.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방법

     - '제품 추천'을 적극 활용하며 상세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설명) 올리브영의 경우 APP에서 사용자를 위한 제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어떠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품을 추천해주는지 과정이 불명확한 부분이 있다, 이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순 판매를 위한 추천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들게 하며 이는 서비스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피부 타입을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을 추천하는 서비스가 있다면 독보적인 뷰티 어플 서비스로 거듭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남성들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 활성화 방법

    -식품&화장품 분야의 활성화

    -남성들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의 방향을 제시한다. 

    ->(설명) 남성 뷰티 시장은 가파른 상승세로 성장 중이다. 하지만 현재 뷰티 어플 서비스는 남성의 정확한 Needs를 파악하여 남성들만을 위한 전략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실제 서베이 결과 중 남성들이 남성 뷰티 제품의 다양성 증가의 Needs가 있음)

    이에 남성들의 뷰티 제품 사용 여정을 파악하여 각각의 단계에 대한 Needs를 파악하고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이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도 해당된다. 


    올리브영을 선택한 이유는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heavy유저 이기도 하고 선두 주자이기에 과감하게 선정하였다! 개인적으로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 것이기에 부족하고 추상적인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3차례 포스팅을 통해, 올리브영의 현황 분석, 문제정의 그리고 해결방안까지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평소 올리브영 오프라인/온라인을 자주 사용하는 유저로써 한 번쯤 분석해 보고 싶었던 서비스였다. 
    현황을 알 수 있는 데이터가 한정적이어서 결과 부분 또한 한정적이고 추상적이지만,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보고 실제 사용자의 Needs 또한 파악할 수 있었던 과정이어서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는 패션업계 서비스를 분석해 볼 예정이다. 

     

     

     

     

     

    댓글

my_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