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
[화해]서비스 분석(1)UX/서비스 분석 2022. 5. 11. 20:01
평소에 관심있었던 어플 서비스 중 '화해'어플 서비스에 대해서 2주간 UX/UI 분석을 하려고한다. 개인적으로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과 UX_Writing 그리고 정보의 신뢰도 부분에서 매우 우수하게 제공하는 어플서비라고 생각한다! [메인페이지 (1)설명] 화해의 메인 화면은 아이콘과 색상을 사용하여 부드럽고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여유로운 간격과 과하지 않은 정보제공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부담없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단 메뉴바는 크게 홈,화해쇼핑,마이페이지,리뷰로 구성하여 간단하게 핵심기능을 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특이했던 부분이 유저입장에서는 하단 메뉴바를 보면서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홈' 과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화해쇼핑'으로 나눠지겠구나!라고 생..
-
[Hook모델 / UX 분석] 'Toss'UX/서비스 분석 2022. 4. 8. 14:57
Hook 모델을 분석하기위해 매일 사용하는 어플 Toss를 선택하였습니다. Toss의 경우 UX Writing을 정말 잘 한 서비스로 유명하며 이번에는 Hook모델관점에서 트리거 요소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1. 서비스 설명 토스 증권 어플 “투자, 모두가 할 수 있도록” 토스증권은 토스에서 투자 입문자의 시각으로 만든 주식 투자 서비스 입니다. 입문자의 시각에서 설계했기 때문에 메뉴의 구성,명칭,용어 등을 쉽고 직관적으로 구성하였으며 기존 토스 어플에서 추가된 기능형태로 추가적인 어플 설치가 불 필요하다는 점도 눈에띄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21년 4월 출시 약 한 달 만에 신규 주식 계좌 수가 200만건을 돌파하였며 5일동안 ‘주식 1주 지급’ 이벤트로 무려 170만의 신규 계..
-
'올리브영' 현황 분석 및 방향성 제공(1)UX/서비스 분석 2022. 4. 6. 18:10
기획부터 유저 서베이 그리고 결론 도출까지 디테일한 분석 리포트를 쓰기로 결심하였고,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이면서 후발 주자가 아닌 선두 주자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나의 의견의 주관성과 지표들의 객관성을 더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가졌다.(의도적인 부분이 아님을 알립니다!) 그래서 선택한 서비스는 국내 대표 뷰티 브랜드 '올리브영'이다. '올리브영'은 그 어느 뷰티 브랜드보다 매장 입지와 매출 그리고 온라인 시장 점유율까지 압도적인 수치를 나타낸다. 뷰티 시장의 선두주자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정의 및 해결방안을 나만의 방식으로 분석하여 기록하려고 한다. [Process] 1. 올리브영의 국내, 해외 시장분석 2. 올리브영의 현황 분석 및 문제점 정..
-
[WireFrame] Youtube , NetflixUI 2022. 2. 3. 18:33
Youtube 와이어프레임 Netflix 와이어프레임 💡 비즈니스 관점 공통점 주 목적인 ‘영상 제공’에 초점을 두고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웹사이트 모두 광고,구독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입니다. 차이점 Youtube 메인 화면에서는 광고 영상을 첫 순서로 배치되어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영상들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기에 사용자들에게 불편은 적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에 대한 ‘자유로운 썸네일 제작’ , ‘조회수’ 데이터등을 제공하면서 사용자들에게 간접적으로 영상 클릭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 제작자의 자유도와 시청자의 관심 두가지 포인트를 잡을 수 있는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넷플릭스 첫 화면에서는 넷플릭스가 추천하는 영상을 화..
-
'4주 챌린지를 마치며'UX/Readyme Onboarding 2022. 2. 3. 18:18
Readyme Onboarding 2기멤버 조민영입니다! 앞으로 매주 Readyme Onboarding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저의 결과물 및 소감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4번째 포스팅 주제는 '4주 챌린지를 마치며'입니다. 온보딩을 시작한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4주가 지나 엑스턴십을 준비하고있습니다. 4주 개인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느꼈던 좋은 점, 성장했던 점 중심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디자인 Tool을 통한 다양한 결과물 생성' 와이어프레임 제작 과제를 통해 평소 서툴렀던 디자인 Tool을 사용 및 구현을 통해 공부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습니다. 어도비XD 뿐만 아니라 피그마 tool도 추가적으로 공부하는 계획도 세울 정도로 디자인에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실제로 직접 만들어 보니 시각적으로 나타..
-
[UX-Usability][야놀자 vs 여기어때]UX 2022. 1. 28. 14:44
사용성(Usability)이라는 지표는 상당히 모호하면서 어려운 지표인 것 같습니다. 이에 사용성의 거장이신 제이콥 닐슨(Jacob Nielson)이 제시한 5가지 기준은 Learnability, Efficiency, Memorability, Few errors, Satisfaction 이 있습니다. 위의 5가지 지표를 통해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지만 5가지 모두를 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비효율적이고 불가능 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현업에서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지표를 선택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실제로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저테스트를 진행할 때 크게는 2가지로 나눠보았습니다. 주관적 지표 : 사용자의 만족감 및 선호도 등을 정량적 혹은 정성적으로 측정 객관적 지표 ..
-
[UX-Writing][메가박스 vs CGV]UX 2022. 1. 28. 14:26
UX Writing이란 Web/App 의 모든 단어나 문구, 즉 *카피(Copy)*를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글은 UX writer를 '사용자가 목적을 쉽게 달성하도록 돕는 카피를 작성하여 디자인과 제품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역할이라고 정의했으며, 틱톡은 UX writing을 '유저와 프로덕트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했어요. -> 따라서 UX Writing은 작은 요소이지만 사용자들에게 전해지는 영향력은 결코 작다고 할 수 없습니다! UX writing에 대하여 고민해 보았을 때 어떠한 서비스(사용법제공,구매,정보 검색 등등)를 제공하는 것에 따라 영향을 많이 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대중적인 어플에서 디테일 한 부분에 초점을 두어 사용자의 마음을 사로 잡은 서..